소장자료


한천과 습지, 식물의 역동적인 적응과 생태:역동적인 지형공간에서 살아가는 식물들의 독특한 삶의 방식들

표지이미지

안양: 참생태연구소, 2023
512 p.: 천연색삽화, 도표; 24 cm
2023 세종도서 사업 기증도서 2024년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교육부 우수학술도서임


  소장사항 : 전주교육대학교 도서관 [ 481.526 이6793ㅎ ]

등록번호 소장정보
EM210253 대출가능
  • Vol.Copy :
  • 별치기호 : F
  • 소장위치 : 개가자료실
EM210254 대출가능
  • Vol.Copy : C.2
  • 별치기호 : F
  • 소장위치 : 개가자료실



  책소개 인터파크 바로가기

역동적인 지형공간에 살아가는 식물들이 독특한 삶의 방식들 앞으로는 생물다양성이 기업 환경경영의 핵심임에도 불구하고 생물학 특히, 생태학과 같은 기초과학은 사회적으로 점점 소외되고 있다. 지표의 여러 생태공간 중에 하천 습지는 생물다양성 유지와 보전의 핵심이다. 기업은 물론 국가의 동참으로 생태학 관련 많은 연구와 인력 배출, 투자는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지만 현재 관련 정보는 태부족하다. 본 도서는 우리나라 여건에 맞는 내용들로 잘 정리되어 있다. 내용 전개에 저자는 집필을 시작하면서 항상 왜? 어떻게?라는 질문으로 시작하였다. 많은 내용을 담고자 하였지만 더 보강해야 할 주제나 정보들이 있을 수는 있다. 하지만 내용들은 식물생태학적 관점에서 하천 습지를 보다 깊이있게 이해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생물·생태 관련 대학생, 기관 및 전문업 종사자, 기업 및 환경단체 종사자, 관심있는 개인들이 그 대상일 것이다. 지구라는 거대한 생명체는 가뭄, 홍수, 태풍 등으로 동적평형을 이루려고 항상 몸부림친다. 사계절이 뚜렷한 대륙성 기후 지역인 한반도는 여름철에 강수에 영향을 크게 받는데 하천 습지의 식물들은 육상식물에 비해 생존에 더 많은 역동적인 적응전략이 필요하다. 이 책에는 습지성 식물의 역동적 적응전략과 생태적 특성들에 관한 전반적인 이야기를 다루었다. 이 책의 내용은 총 7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부의 기초가 되는 하천 습지의 생태환경과 제2부 그 속에 살아가는 식물과 식물사회의 적응과 특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에서 하천 습지의 식물과 식물사회를 이해하기 위해 개념과 정의, 그 기초가 되는 생태환경의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하천 습지의 생태환경은 주기적인 맥박식의 수문주기, 범람으로 인한 강한 교란체계, 침수 또는 침수와 배수가 순환되는 토양환경과 같이 독특하고, 동적평형의 역동성, 상호작용의 연속성을 갖는다. 제2부에서는 이러한 생태환경을 갖는 하천 습지에 경쟁보다 강한 적응력으로 살아가는 역동적인 식물들의 특성과 그 속의 식물사회에 대한 내용들이다.

  목차

┃ 제1부 ┃ 하천 습지의 생태환경 제1장 개념 │ 정의 │ 분류 1. 습지와 하천의 정의 3 1.1 습지의 정의 3 1.2 하천의 정의 5 2. 습지의 분류 9 2.1 습지 분류체계 9 2.2 하천 습지의 영향 인자 12 3. 습지의 경계 설정 15 3.1 경계 설정 요소 15 3.2 습지식물로 습지경계 인식 18 4. 습지의 기능과 중요성 20 4.1 하천 습지의 기능 20 4.2 가치와 중요성 23 5. 습지와 하천의 분포 26 5.1 주요 습지의 분포 26 5.2 세계와 한반도의 주요 하천 분포 29 제2장 하천지형 │ 하천작용 │ 한반도 지형 1. 지형 형성과 공간 구조 33 1.1 하천의 발달 33 1.2 물길 구조 35 2. 유역경관과 단위지형 40 2.1 경관 수준의 유역적 접근 40 2.2 물길과 유출량의 평형 50 2.3 지형단위 수준의 횡단면적 접근 54 3. 하천작용과 퇴적물 이동 63 3.1 하천작용과 물리적 특성 63 3.2 퇴적물 이동과 충적지형의 발달 68 3.3 하천 횡구조물에 의한 퇴적물 이동의 변화 70 4. 충적지형의 발달과 특성 74 5. 우리나라의 하천지형 81 5.1 지질 및 지형 특성 81 5.2 우리나라의 하천 구분과 주요 특성 86 제3장 기후 │ 수문 │ 토양 1. 기후 91 1.1 기후 영향 91 1.2 한반도 기후 특성 93 2. 물의 순환과 흐름, 토양수 103 2.1 물의 특성과 순환 103 2.2 유량과 물흐름 107 2.3 토양에서 식물의 물흡수와 물순환 119 3. 기온과 수온 126 4. 퇴적물과 토양 환경 130 제4장 화학 │ 생물 1. 식물의 필수 영양염류와 영향 물질 143 1.1 식물의 필수 영양염류 143 1.2 기타 영향 물질 150 2. 탄소, 질소, 인, 황의 순환 152 2.1 탄소 순환 152 2.2 질소 순환 154 2.3 인 순환 158 2.4 황 순환 160 2.5 인과 질소, 부영양화와 물질순환 161 3. 수환경과 수질 168 3.1 수환경 특성 168 3.2 pH(수소이온농도) 170 3.3 산소와 이산화탄소 174 3.4 조도와 부유물질, 염분도 177 4. 생물 생태적 과정 180 4.1 영양단계의 물질순환과 에너지 흐름 180 4.2 유기물 분해의 생물적 과정과 물속 생물다양성 183 제5장 인간 영향 │ 현명한 이용 1. 산업화와 도시 발달 189 1.1 습지 소실과 하천 개량 189 1.2 도시화와 댐 건설, 기후변화 194 2. 수질 오염과 생태환경 개선 200 2.1 수질오염과 홍수유출량 변화 200 2.2 수질 개선 204 3. 습지의 생태문화와 현명한 이용 207 3.1 하천과 습지의 생태문화 207 3.2 습지의 현명한 이용 209 ┃ 제2부 ┃ 식물과 식물사회 특성 제6장 환경에 대응한 식물적응 │ 반응 │ 발달 1. 습지식물의 정의와 분류, 특성 215 1.1 습지식물의 정의와 분류 215 1.2 습지식물의 유형별 특성 219 2. 식물 지리와 공간 분포 225 2.1 식물의 지리 분포 225 2.2 식물의 공간 분포 유형 227 3. 습지식물의 진화와 적응 230 3.1 습지식물의 진화와 생태학적 반응 230 3.2 생물다양성과 자원경쟁 237 4. 수문과 습지토양에서의 식물 적응 247 4.1 수환경에서의 식물 적응 247 4.2 침수토양에서 식물 적응 260 4.3 생활형 적응 274 4.4 식물 기관의 형태적 적응 278 5. 식물의 번식과 산포 전략 282 5.1 식물의 번식 방법 282 5.2 산포와 개체군 유지 295 6. 천이적 변화 300 7. 식물학적 관점에서의 습지 유형화 312 7.1 식물상을 고려한 습지분류 312 7.2 습지유형별 특성 314 제7장 식물종 │ 식물사회 1. 하천, 호소의 식물과 수변림 321 1.1 하천과 호소의 식물 321 1.2 수변림의 정의와 분류 326 1.3 수변림의 기능과 특성 331 2. 유역 경관별 식물 및 식물사회 335 2.1 유역별 분포 특성 335 2.2. 하천 습지의 식물사회 체계 342 3. 목본 식물사회 349 3.1 버드나무류림 349 3.2 경목림 또는 기타 연목림 373 4. 초본 식물사회 383 4.1 다년생 초본식물 383 4.2 일이년생 초본식물 397 4.3 수중식물 403 5. 보호식물과 귀화식물 414 5.1 멸종위기야생생물과 중요 식물 414 5.2 귀화식물 423 참고문헌 434 부록(우리나라 습지식물 목록) 490 찾아보기(색인) 512

  저자 및 역자 소개

이율경, 백현민 저 : 이율경 저


  문의

담당 연락처
단행본 대출 방현옥
단행본 반납 방현옥
목록 조우연
목차서비스 조우연
상호대차 방현옥
수서 김민선
연간물 관리 김민선
원문복사 조우연




Site M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