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SS 서비스
http://lib.jnue.kr/JNUE
전주교육대학교 도서관 : 최신소장자료 ko2025-01-14T00:01:01+09:00Copyright (c) 전주교육대학교 도서관 All right reserved<![CDATA[Principles of soundscape ecology :discovering our sonic world /Bryan C. Pijanowski]]>Pijanowski, Bryan C.,2024-12-30<![CDATA[[호시] 정약용의 음악이론:『악서고존樂書孤存』 해설과 비판]]>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 1762~1836)의 『악서고존(樂書孤存)』은 음악의 육률(六律)ㆍ오성(五聲)ㆍ팔음(八音)에 시종한 악률서(樂律書)다. 원문(한문) 약 9만 3천 자에 이르는 방대한 책에서 정약용은 역대 거의 모든 악률 관련 논의들을 싸잡아 비난하고, 스스로 악률 체계를 고안하고, 이를 바탕으로 여러 악기의 치수까지 제시했다.
그러나 기존 악률론에 대한 정약용의 비판은 근거가 틀렸거나 지나치고, 그가 고안한 악률 체계는 고개를 갸우뚱하게 만들고, 그가 제안한 악기 치수는 허무맹랑하다. 음악 실용서로만 본다면 『악서고존』은 무가치한 저술이다.
『악서고존』은 애당초 음악 실용서로 기획된 저술이 아니다. 실용서 그 이상의 악서(樂書)이고, 악서 그 이상의 조망을 담은 경학서, 다산 경학(茶山經學)의 마침표로서 의의가 있다. 그러니 『악서고존』의 제대로 된 평가가 음악학자만의 몫은 아닐 것이다.
‘조선의 헤겔’ 정약용, 음악 책도 썼다
안 건드린 분야가 없다고 익히 알려졌지만, 심지어 음악 책까지?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 1762~1836)은 음악이론 책도 썼다. 그냥 단편 모음이 아니라, 한문 원문 9만 3천 자에 이르는 12권짜리 『악서고존(樂書孤存)』(1811)이 그것이다. 동시대 독일 철학자 헤겔을 능가하는 방대한 다산학(茶山學)의 핵심은 경학(經學)이고, 다산에게 경학이란 흔히 말하는 사서오경(四書五經, 논어ㆍ맹자ㆍ대학ㆍ중용ㆍ시ㆍ서ㆍ역ㆍ예기ㆍ춘추)에 그치지 않고 『악경(樂經)』까지 ‘사서육경’을 갖추어야 비로소 완성되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악서고존』에서 정약용은 『서경(書經)』(일명 상서尙書) 이래 청(淸) 초까지 2천 년 넘는 동아시아의 음악 논의를 ‘악률(樂律)’ 중심으로 총정리하고, 거의 모두 틀렸다며 비판하고, 자기 스스로 율려와 오음 체계를 고안하고, 그에 맞춰 16종에 이르는 악기의 제원과 치수까지 제안했다.
그러나 『악서고존』의 전모가 음악학계와 철학계에 온전히 알려진 적은 없었고, ‘실학자’ 정약용이라는 후광 때문에 “『악서고존』은 역대 음악의 제도를 치밀하게 고증하고 과학적으로 비판하여 오류를 바로잡았다”는 막연한 인식이 퍼져 있었다.
『정약용의 음악이론』(김세중 저, 민속원, 2023)은 음악학자의 입장에서 처음으로 『악서고존』을 세부 주제별로 해설하고 비판까지 한 책이다.
사실 『악서고존』이 음악적으로는 틀렸다는 것은 1990년대 초부터 음악학계에서는 공공연한 비밀이었다. 급기야 철학 연구자들로부터 “음악적으로 무엇이 어떻게 틀렸다는 것인가?”라는 공개질문이 제기됐고, 그에 답하기 위해 5년간 연구 끝에 이 책을 썼다고 저자는 밝힌다.
음악학 외 분야 연구자들의 『악서고존』 연구는 음악이론이 걸림돌이 되어 전체 그림 보기에 애를 먹기 일쑤였다. 『악서고존』의 이론이 틀렸다는 소문에 대해 ‘음악(학) 아는 사람’이 더 속시원히 해명해 주기를 바라는 분들도 있었다. 음악학계를 향해 던진 공개질문에 대해 10년 넘도록 음악학계는 답을 하지 못하고 있었다. (서론, 26쪽)
음악적으론 정약용이 틀렸다
우선 『악서고존』은 그저 음악의 여러 이론을 총망라한 책이 아니라, 철저하게 음악의 표준 음높이인 ‘육률(六律)’(실제는 십이율려를 통칭), 상대 음높이인 ‘오성(五聲, 오음)’, 이 소리들을 실현할 악기인 ‘팔음(八音)’에 집중한 저술이라고 책은 밝힌다. 저술의 체계도 먼저 정약용 자신의 음악이론적 전제들을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2천 년 악률론을 거의 전면적으로 부정하고, 스스로 새로운 악률 체계를 고안하고, 이를 악기 제원과 치수에 적용하는 순서로 치밀하게 구성되었다는 것이다.
원저에 없는 도해와 쪽악보를 보충해 가며 이상을 소개하고 정리한 뒤, 책은 “정약용의 악기들은 그가 의도한 소리를 낼 수 없다”는 객관적 사실부터 출발해, 기존 악률론들에 대한 정약용의 비판과 그가 세운 전제들은 타당한가를 ‘아래로부터’ 비판해 나간다. 결론적으로 “『악서고존』은 ‘음양(陰陽)과 삼천양지(參天兩地, 하늘은 3, 땅은 2)와 구구 팔십일’이라는 단 하나의 원리 위에 악률론을 구축하려는 형이상학적 저술이며, 음악 실제에 전혀 적용할 수 없는, 빗나간 ‘위로부터의’ 악론(樂論)”이라고 책은 주장한다.
기존 악률론에 대한 비판은 그 근거가 틀렸거나, 일리가 있더라도 지나친 감이 있다. 정약용이 제시한 악률 체계는 고개를 갸우뚱하게 만들고, 그가 제시한 악기 치수는 감히 말하건대 허무맹랑하다. (책을 펴내며, 5쪽)
요컨대 『악서고존』은 음악 실제에 적용하기 위한 저술로서는 가치가 없다. 이것이 철학계의 오래된 공개질문에 대한 음악학자의 첫 번째 답이다. 다산을 숭모하는 분들이 이 답을 어떻게 받아들일지 모르겠다. 선현이 틀린 줄도 모르고, 심지어 틀린 점에 짐짓 눈감고 그의 오류까지 떠받드는 것이 도리어 그분을 욕되게 하는 일일 수 있다고 하면 변명이 될까? (나가며, 180쪽)
그 대신 『악서고존』을 표면만 보고 음악이론서라고만 여길 것이 아니라 음양의 역학(易學) 저술을 겸하는 것으로 보고, 다산 경학이라는 더 큰 틀 안에 자리매김할 것을 다시 철학 연구자들에게 역제안한다.
성리학의 태두 주자(주희)가 전통 악률론을 폭넓게 받아들였는데도 그를 ‘내 편’으로 여겨 비판하지 않은 점, 명(明) 주재육(朱載堉)이 세계 최초로 고안한 평균율을 아예 언급하지 않은 점, 거문고를 비롯한 동시대 조선 음악에 대한 철저한 무시와 비하로 일관한 점 등, 정약용의 저술 태도에 대한 비판도 눈길을 끈다.
그래도 『악서고존』을 읽어야 할 이유
하지만 앞서 간 어떤 학자의 저술 하나가 틀렸다는 이야기를 위해 책 한 권을 쓸 가치가 있을까? 정약용이라면, 더구나 『악서고존』이라면 충분히 그럴 수 있다고 저자는 말한다. “청 초까지 중국 역대 악률 이론이 그 한계와 함께 『악서고존』 한 권에 총망라되다시피 했다”는 치명적인 매력이 있어서다. 저자는 『악서고존』 전문 완역과 함께 해설과 비판을 조목조목 제공하는 가칭 『악서고존 평석』을 준비 중이다.
당장 해설서로서 쓰임을 높이기 위해,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소장된 530쪽 분량의 『악서고존』 필사본을 축소 영인하고 처음으로 쪽마다 번호를 달아 책 부록으로 실었다. ‘C D E’와 ‘도레미’만 이해하면 따라잡을 수 있도록, 책 단계별로 전통 악률이론을 쪽악보와 계산식 등과 함께 해설했다. 정약용이 글로만 서술한 악기 치수가 한눈에 들어올 수 있도록 주요 악기의 개념도를 그려 치수와 함께 제시했다.
저자는 조선일보 기자를 하다 한국음악학과 미학 연구자로 전환했으며, (재)방일영문화재단의 전직 언론인ㆍ언론학자 저술 지원을 받아 이 책을 썼다.
(저자의 변)
짧은 기자 생활을 접고 학교로 돌아온 지 26년째고, 나이로 환갑을 맞았다. 『정약용의 음악이론』보다 3개월 앞서 『두길 천자문』(민속원, 2023)을 펴냈다. 그 또한 교양과목을 주로 가르친 나의 20여 년 강의 경력의 소산이기는 하지만 내심 자괴감을 누를 수 없었다. 내 전공은 어디까지나 한국음악학이니, 그 책은 내 주된 커리어에서 벗어난 잡서이기 때문이다.
국악이론 전공으로 석사과정에 다시 들어간 1998년에 『악서고존』을 처음 접했지만, 책을 제대로 읽기 시작한 것은 그로부터 30년 지난 2018년 여름부터다. 그해부터 5년 동안 학술회의 한 번과 학술지에 다섯 번, 『악서고존』을 비판적으로 검토한 연구논문을 발표했다. 그사이 1년여 걸려 원문 포함 2,700매 분량의 국역 초역도 마쳤다.
연구논문은 전공자들을 위한 것이어서 큰그림과 세세한 해설을 제공하기 힘들다. 궁극적으로는 국역, 해설, 비판을 망라한 가칭 『악서고존 평석』쯤이 있어야겠지만, 앞으로 얼마나 걸릴지 모를 그 책에 앞서 당장 해설서가 시급했다. 그것도 이왕이면 음악 기초이론 정도를 어렴풋이 알고 있는 인접 분야 연구자들도 읽을 수 있도록 친절한 설명을 겸한. 그래서 도해와 쪽악보와 온갖 숫자 계산과 표를 넣어 가며 처음부터 완전히 새로 쓴 책이 『정약용의 음악이론』이다. 내게는 『악서고존 평석』으로 가는 징검다리이고, 『악서고존』이나 전통 악률론에 관심 있는 연구자와 일반인들에게는 당장의 막막함을 조금이나마 해소해 줄 수 있는 길잡이가 되기 바란다. 저자 : 김세중 , 출판사 : 민속원 , 입수일자 : 2024.12.23 ]]>김세중2024-12-23<![CDATA[새로운 스포츠 심리학 :마음챙김과 수용전념 :압박감 속에서 최고의 성과를 만들어내기]]>이 책은 마음챙김과 수용전념치료라는 제3동향의 CBT 접근에 가장 근접해 여러 스포츠 종목에서(예: 축구, 농구, 미식축구, 아이스하키, 배구, 사이클, 핸드볼, 테니스, 배드민턴, 볼링, 요트, 카누, 수영 등) 엘리트 올림픽 선수들을 지도한 사례가 생생하게 기록되어 있다. 또한 풍부한 사례연구로 꿈의 무대인 NBA나 NFL, 영국 프리미어리그 EPL에서 활동하거나 올림픽 무대에서 실제 메달을 딴 현장의 경험들이 다채롭고 세밀하게 묘사되어 있어 몰입하며 읽게 된다. 마침 2024년 파리올림픽을 앞두고 있는 시점에서 이런 분야의 진료를 꿈꾸는 상담가들과 엘리트 선수들에게도 실제적인 도움을 주는 참고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역자 서문 中
수용전념치료(ACT-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와 마음챙김 수용전념[Mindfulness Acceptance Commitment (MAC)]과 같은 접근법은 엘리트 운동선수를 지원하는 스포츠 심리학 전문가들 사이에서 엄청난 호응과 지지를 얻고 있다. 스포츠 심리학 분야의 이러한 수용 기반 제3 동향 인지 행동 접근법은 사고 억제 및 통제 기술이 메타인지 검열 과정을 유발할 수 있으며, 과도한 인지적 활동과 과제와 무관한 집착(생각을 바꾸려고 하는 자기 초점적 주의)이 운동선수의 수행 능력을 방해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스포츠 심리학 개입의 목표는, 선수가 내면의 경험을 관리하고 통제하는 실효성 없는 작업에 참여하도록 돕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스포츠 심리학 전문가는 운동선수의 가치 있는 목적 추구를 위해 부정적인 생각과 감정을 기꺼이 받아들이려는 의지 향상을 목적으로 노력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이러한 개입의 핵심에는 선수가 마음을 열고 자신에게 주어진 상황을 받아들이도록 지도하고, 현재 순간에 주의 깊게 참여하도록 가르치며, 선수가 자신에게 소중한 가치를 명료화하고 이러한 가치를 향한 전념 행동에 참여하도록 돕는 것이 포함된다.
『새로운 스포츠 심리학: 마음챙김과 수용전념』에서는 위대한 운동선수는 뛰어난 정신력을 타고난다는 단순한 생각을 믿지 않는다. 운동선수는 슈퍼 히어로가 아니다. 그들 역시도 한 인간으로서 긴장하고 수행 불안에 시달린다. 그들도 부담감에 압도당하면서 때때로 의미와 동기를 상실하기도 한다.
이 책을 통해 엘리트 스포츠에서 선수들이 어려운 생각과 감정이 자연스러운 것임을 받아들이는 법을 배우고, 호기심을 갖고 선수들 자신이 스포츠에서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지 살펴볼 용기를 갖는다면 정신적 강인함을 기를 수 있다는 확고한 믿음이 전달되기를 바란다. 저자 : Henriksen, Kristoffer, , 출판사 : 군자출판사 , 입수일자 : 2024.12.23 ]]>Henriksen, Kristoffer,2024-12-23<![CDATA[순창의 판소리 명창]]>저자 : 최동현, , 출판사 : 민속원 , 입수일자 : 2024.12.23 ]]>최동현,2024-12-23<![CDATA[스포츠심리학원론 =Fundamentals of sport psychology]]>권성호,2024-1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