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SS 서비스 http://lib.jnue.kr/JNUE 전주교육대학교 도서관 : 최신소장자료 ko 2024-09-30T00:01:01+09:00 Copyright (c) 전주교육대학교 도서관 All right reserved <![CDATA[붓다의 가르침과 팔정도]]> 저자 : Lahula, Walpola, , 출판사 : 한국빠알리성전협회 , 입수일자 : 2024.09.11 ]]> Lahula, Walpola, 2024-09-11 <![CDATA[에세이로 읽는 법구경 :삶을 이끄는 지혜의 징검다리]]> 삶을 이끄는 지혜의 징검다리 나를 바로 세우는 사람됨의 지혜서! 『법구경』을 읽는다는 것은 삶의 바깥을 서성거리다가 삶의 안쪽으로 깊숙이 들어서는 것과 같다. 『법구경』 속에는 오늘을 살아가는 모든 인간 삶의 현장이 눈부실 만큼이나 가득히 펼쳐져 있기 때문이다. 아름다운 삶이 있는가 하면 아름답지 못한 삶이 있고, 참으로 기쁜 삶이 있는가 하면 스치며 지나기에도 서러운 삶이 있다. 숭고한 삶이 있는가 하면 그지없이 비천한 삶이 있고, 안타까운 삶이 있는가 하면 버려질 수밖에 없는 삶도 가득 들어 있다. 붓다께서는 그러한 삶의 현장을 하나도 빼놓지 않고 지적해 주신다. 마치 자상한 어머니가 아들과 딸의 등을 토닥이며 타이르듯 그렇게 말씀해 주신다. 먼저 삶의 바깥을 보게 하고 다시 삶의 안쪽을 들여다보게 하며 마침내는 삶의 안팎을 한꺼번에 보여 주시며 그 의미를 일깨워 주신다. 그래서 『법구경』은 담마파다Dhammapada, 즉 진리의 말씀인 것이다. 『법구경』이 불교 경전 중에서 가장 널리 알려지고 많이 읽힐 수 있었던 것도 불교의 어려운 오의奧意를 나열하기보다는 삶의 현장을 확연히 보여 주어 행위의 지침으로 삼게 했다는 점 때문일 것이다. 이 책은 제목 그대로 ‘진리의 말씀’을 좇아 오늘을 살아가는 모든 사람들에게 변하지 않는 삶의 지침을 제시한다. 붓다의 말씀을 기본으로 하고 있지만 단순한 불교 경전이 아니다. 참된 삶을 추구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삶의 지혜를 깨우치게 하고 가슴 깊숙이 그 지혜를 심어 준다. 이 책에 실린 붓다의 말씀은 모두가 어제의 말씀이 아닌 것이다. 오늘을 위한 오늘의 말씀이다. 이 말씀을 따라 하루하루를 살아갈 수 있는 사람이라면 그야말로 가장 긍정적이고 충만한 삶을 완성해갈 수 있을 것이다.
저자 : Dharmatrata , 출판사 : 문예춘추사 , 입수일자 : 2024.09.12 ]]>
Dharmatrata 2024-09-12
<![CDATA[인생의 괴로움과 깨달음 :미처 몰랐던 불교, 알고 싶었던 붓다]]> ◆ 다름과 공감하는 시선 ‘종교문해력 총서’ ◆ 사회 여러 부문에서 통용되는 문해력(文解力, literacy)은 글을 아는 능력을 넘어 그 의미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능력이다. 종교문해력은 ‘맹목적 믿음’이 아닌 ‘이성적 이해’의 측면에서 종교를 재해석하고 소통하는 능력으로, 종교문해력의 비판적 성찰과 모색의 힘은 올바른 종교의 선택과 바른 신행의 지향점을 제공한다. 특히 다종교·다문화 사회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다른 종교와 세계관을 이해하는 ‘종교 감수성’을 높이는 힘이 된다. 마인드랩이 재단법인 플라톤 아카데미 지원을 받아 출간한 ‘종교문해력 총서’는 종교문해력으로 종교 감수성을 키우는 입문서 시리즈다. 『내 안의 엑스터시를 찾아서』(종교), 『인생의 괴로움과 깨달음』(불교), 『지금 우리에게 예수는 누구인가?』(기독교), 『이슬람교를 위한 변명』(이슬람교), 『소태산이 밝힌 정신개벽의 길』(원불교) 등 5종으로 인류 지성사에서 가장 오래 사랑받는 세계 종교의 핵심 메시지들을 인문학 관점에서 접근했다. ‘종교문해력 총서’는 종교학을 비롯해 붓다·예수·무함마드·소태산 등 각 종교 창시자들의 삶을 중심으로 그들이 고민한 인생의 근본 문제와 그 해답을 새롭게 풀이한다. 그리고 탈종교, 기후변화와 팬데믹, AI 혁명 시대를 사는 우리에게 종교의 의미와 가치 그리고 다름과 공감하는 시선의 방향을 일러준다. 신격으로 추앙하는 이야기를 걷어 낸 붓다의 인생과 고민 그리고 해답! 『인생의 괴로움과 깨달음』은 ‘믿음’이 아닌 ‘이해’의 측면에서 종교를 바라보고 종교 감수성을 키우는 ‘종교문해력 총서’의 두 번째 책이다. 세계 종교 중 하나이며 많은 사람이 믿는 불교의 시작점이 된 붓다를 신으로 오해했다면 곤란하다. 또 붓다가 세상에 밝힌 괴로움의 원인과 소멸 그리고 깨달음이 온전히 자기만의 아이디어라고 오해했다면 착각이다. 이 책은 고대 인도의 제사와 수행 전통을 비롯해 언어학과 고고학 등 여러 맥락 안에서 붓다의 진짜 목소리를 추적한다. 마이너스 통장에 쌓인 부채를 개인 파산으로 구제한 혁신적인 발상! “전생에 무슨 죄를 지어서…”, “전생에 나라를 구해서…” 등 우리는 알게 모르게 전생을 입에 달고 산다. 〈재벌집 막내아들〉, 〈이번 생도 잘 부탁해〉, 〈이재, 곧 죽습니다〉 등 다시 태어나 삶을 새롭게 시작하는 많은 이세계 판타지 대중문화 역시 전생을 전제로 한 환생(윤회)이 모티브다. 윤회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종교가 불교이며, 불교의 시작점인 붓다와 그 가르침이라는 데 우리는 큰 이견이 없다. 하지만 저자는 까르마, 즉 업과 연관돼 작용하는 윤회라는 논리 시스템이 고대 인도의 제사 전통 등 이미 오래전부터 존재했으며, 다만 붓다는 이 시스템의 전환을 이뤄낸 인물이라고 강조한다. “쏘마는 제사의식에서 하늘에 공물로 바치는 식물의 즙이다. 즉 하늘의 수분은 바로 제사 때 하늘로 보내진 쏘마이고 따라서 생명의 근원이자 정액의 산출물, 인간을 이루는 것은 바로 쏘마인 것이다. 따라서 인간은 쏘마라고 대답을 해야 정답이고, 저승의 시험에 통과한다는 것이 베다 시기의 중요한 지혜인 것이다. 그렇다면 인간이 쏘마라는 뜻은 결국 비와 물과 식물과 동물과 정액과 인간의 형태를 취하기는 하지만, 모두 무한 순환되는 쏘마라는 말이다. 이것이 우리가 지금 무한 순환의 논리로 이해하는 윤회의 세계관이 구축된 논리이다.” 흔히 ‘전생에 지은 죄’와 비교되는 까르마, 즉 업(業)에 관한 저자의 해석도 흥미롭다. 업이 다음 생에 영향을 미친다는 당시의 사상을 붓다가 뒤집었다는 것. 나쁜 업이 쌓인 통장을 마이너스 통장에 빗댄 설명은 윤회의 원인으로 보이는 업에 관한 우리의 고정관념에 균열을 낸다. “한 인간이 모은 좋은 까르마만큼의 즐거움이 주어지고, 나쁜 까르마만큼의 고통을 받아야 나쁜 까르마가 지워진다. 이런 상황에서 인간이 산다고 생각하면, 충실하게 모든 부채 잔고를 지워야 한다는 원칙론적 입장이 자이나교의 입장이라고 할 수 있다. (…중략…) 그런데 붓다는 어마어마한 액수의 부채 잔고의 크기가 있다고 할지라도, 그에 얽매이지 않고 각자가 개인파산 제도를 활용해서 구좌를 폐쇄시킬 수 있는 길을 가르치는 셈이다. 이것이 붓다가 고대 인도 종교의 지형 안에 불러온 혁신, 즉 해탈은 고통을 전제로 하지 않고 이루어진다는 전환이 낳은 논리적 귀결의 핵심이다.” 인생이 불타는 장작불이라면, 더는 장작을 넣지 말고 불을 꺼라! 그렇다면 붓다는 인생의 근본 문제를 무엇으로 진단하고 어떤 고민을 했을까? 저자는 이 책에서 붓다가 인생을 구성하는 모든 것이 고생(불만족)이며, 이 고생이 윤회 안에서 계속 반복된다는 사실을 고민했다고 전한다. 붓다는 까르마(선업과 악업)를 모두 삭제해야 하는 당시의 상식에 따라 고통을 이겨내는 수행을 했고, 고행 너머 더 나은 길을 발견했다. “붓다가 모든 것이 고생이라고 했을 때의 맥락을 생각한다면, 특별한 원인 혹은 이유가 없는 즐거움과 편안함은 아예 다른 성질의 즐거움일 수 있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붓다는 바로 이 어릴 적의 체험에서 대상이 없는 즐거움을 발견했다. 그리고 모든 것이 필연적으로 고생일 수밖에 없는 구조에서 자유로운 즐거움의 가능성을 보았던 것이고, 이것이 단초가 되어 붓다의 사상사적 전환이자 혁신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붓다는 인생을 고생스럽게 하는 이유가 ‘좋아하는 일(r?ga)’, ‘정신을 차리지 못하는 경우(moha)’, ‘싫어하는 일(dve?a)’ 등 세 가지에 있다고 판단했다. ‘너무’ 좋아하거나, ‘너무’ 싫어하거나, ‘너무’ 집착하게 되면 고생한다는 것. ‘모든 만족은 모든 불만족을 필연적으로 동반한다’는 게 붓다의 진단이라는 설명이다. 그래서 고행도 아니고 쾌락도 아닌, 딱 중간에 있는 굉장히 차별화된 ‘중도’를 제시했으며, 고집멸도의 사성제 틀 안에서 자신의 가르침을 펼쳤다. 이 대목에서 저자는 고생스러운 우리네 인생에 간결하고 명확한 해답을 내놓은 붓다의 목소리를 전했다. 인생을 장작불로 비유한 장작론이다. “‘좋아하는 일(r?ga)’과 ‘싫어하는 일(dve?a)’이 있고, 이것들 때문에 ‘정신을 차리지 못하는 경우(moha)’ 등 삶이 고생인 이유 세 가지를 장작 삼아 유지되는 불의 비유를 통해 붓다가 제시하는 해답은 명확하다. 불을 끄기 위한 방법이라고 생각하는 어리석은 짓들을 추가로 보태어 불을 키워가지 말라는 것이다. 그저 간단하게 불을 끄기 위해서는 불에 장작을 집어넣는 일을 그쳐야 한다는 것이 붓다의 해답이다.”
저자 : 강성용, , 출판사 : 불광출판사 , 입수일자 : 2024.09.11 ]]>
강성용, 2024-09-11